지구같은 외계행성을 찾을 세상에서 가장 강력한 천체망원경
허블망원경과 케플러 인공위성이 지구궤도에 올려지고 나서는
지상의 천체망원경의 위상이 한참 떨어진 감이 있죠.
하지만 허블은 설치된지 20년이나 지났기 때문에
시대에 한참 뒤떨어진 장비라는 것을 부정할 수 없고
케플러 망원경은 위치수정용 휠을 잃어버려
수리를 위해 조치가 필요해 제대로 작동하고 있지 않죠.
다행스럽게 국제천문학회에서는 EELT(European Extremely Large Telescope)라는
거대한 천체망원경을 만들어 사람이 살 수 있는 지구같은 외계행성을 찾을려고 합니다.
만약 EELT가 만들어진다면 세계에서 가장 크고 강력한 적외선 천체망원경이 될 것입니다.
지금까지는 외계행성을 찾기 위해서는
태양과 같은 항성의 앞을 지나가야만 존재여부를 알 수 있는 정도였는데
새로운 천체망원경은 레이저를 이용해 아주 정밀하게
더욱더 먼거리에 있는 행성들을 찾게 될 것입니다.
지금까지는 볼 수 없을 정도로 희미한 빛도 감지할 수 있는데
레이저를 머리빗는 빗처럼 훑어서 아주 작은 적외선 변화도 감지해 낼 수 있어
지구처럼 아주 작은 행성도 이제는 찾아낼 수 있게 될 것입니다.
EELT의 레이저는 작은 행성은 물론 더 멀리 있는 것도 찾고
행성의 변화의 단계도 알 수 있게 될것으로 기대하고 있고
물의 존재여부나 더 나아가 문명의 건축물까지 발견하게 되지 않을까 기대하고 있습니다.
'SCIENCE > Technic'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북극곰의 털은 그리 길지 않은데 어떻게 추위를 견딜까? (0) | 2014.02.04 |
---|---|
새가 V자 대형으로 비행하는 이유 (0) | 2014.01.25 |
지구같은 외계행성찾기 천체망원경 GPI(Gemini Planet Imager) (0) | 2014.01.20 |
3D 프린터로 집도 지을 수 있다. (0) | 2014.01.19 |
태풍 전담 인공위성 (0) | 2014.01.18 |